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까? 2026 최저임금 반영된 정부 계산기 사용법 공개

by Only파파 2025. 7. 11.
반응형

 

2026년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320원으로 인상되면서 실업급여 수급액에도 변화가 생겼습니다. 왜냐하면 실업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를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인데요. 즉, 최저임금이 오르면 실업급여 하한액도 자동으로 오르게 됩니다.

그렇다면 과연 나도 더 많이 받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정부 제공 실업급여 계산기를 통해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까지 안내해드릴게요.

✅ 2025년과 비교한 2026년 최저임금 변화

2026년도 최저임금은 2025년 대비 시급 기준 460원, 인상률 4.7%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번 인상은 단순한 금액 상승을 넘어, 실업급여·출산급여 등 사회보험 제도 전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 최저임금 연도별 비교표

구분 2025년 2026년 변화
시간당 최저임금 9,860원 10,320원 +460원 (↑4.7%)
월 환산액
(209시간 기준)
2,060,860원 2,157,000원 +96,140원
적용 기간 2025.01.01 ~ 12.31 2026.01.01 ~ 12.31 연 1회 변경
결정 방식 공익안 단독 의결 노사 합의안 17년 만의 합의

💬 간단 요약

  • ✔️ 시급 10,320원은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시 약 215만원 수준
  • ✔️ 실업급여 하한액, 주휴수당 등도 함께 인상되는 구조
  • ✔️ 노사 간 자율적 합의로 결정된 점에서 상징적 의미 있음
1. 실업급여 계산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실업급여는 퇴직 전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일 지급액 = 평균임금의 60%
  • 하한액: 최저임금의 80% × 8시간
  • 상한액: 1일 77,000원 (2025년 기준)

👉 2026년 최저임금 반영 시, 일일 최소 수급액은 10,320원 × 0.8 × 8시간 = 66,048원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5년보다 약 3,000원 이상 인상된 금액입니다.

 

2. 정부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법(모의계산)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무료로 실업급여 예상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고용보험 홈페이지 (ei.go.kr) 접속
  2. 상단 메뉴 → 개인서비스 클릭
  3. 실업급여 모의계산 메뉴 선택
  4. 퇴직일, 평균임금, 고용기간 등 입력
  5.  예상 수령액 자동 계산

매년 최저임금 반영 여부에 따라 정확한 금액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준 반영은 추후 사이트에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3. 실업급여 외에 출산, 육아급여도 달라진다?

최저임금 인상은 실업급여뿐 아니라 출산전후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 등 다른 고용보험 제도에도 영향을 줍니다.

  • 출산전후휴가급여: 통상임금 기준, 최저임금 상승 시 하한액 인상
  • 육아휴직급여: 통상임금의 80%, 하한/상한 변동 가능성 있음

이 역시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모의계산 가능합니다. 알아두면 실수 없이 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은 단순히 시급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실업급여, 출산휴가급여, 육아휴직급여까지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책 변화입니다.

나중에 실직 상황이 오더라도 당황하지 않도록, 지금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 한 번 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면 손해 없이 수급할 수 있어요!

반응형